본문 바로가기
보험

4세대 실손보험 전환 유불리 (장단점) / 1세대, 2세대, 3세대 전환

by 사라다

 

 

 

 

실손보험 (실비보험) 제도가 자주 변경되면서 새로운 항목이 생겨나고 있으며 혜택도 시간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4세대 실손은 과잉진료를 억제할 목적으로 2021년 7월 부터 출시한 제품으로 보험료가 저렴한 대신 자기 부담 비율이 높은것이 특징으로, 4세대 실손보험에 대해서는 2024년 7월 부터 '비급여 보험료 차등제도'가 도입될 예정입니다.

 

▶ 보험료 차등제 란? (2024년 7월 적용)

 

보험회사에서 기존에 있던 실손보험(1세다, 2세대, 3세대)을 4세대로 전환을 권유하는 전화를 받으실 경우 변경시 내가 나중에 손해 보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 

 

 

아래 내용에서는 4세대 실손보험의 장단점과 기존 (1세대, 2세대, 3세대) 보험에서 4세대 실손보험 전환시 이득인지 손해인지에 대해서도 알아 보겠습니다. 

 

시간이 없으신 분은 본인이 직접 4세대 전환과 관련하여 유리한지 불리한지 여부에 대한 간편 계산기가 나왔으니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실손보험 계약전환 계산기

 

 

 본인 실손보험 몇 세대?

 

 

4세대 실손보험 전환 유리, 불리를 따지기 전에 본인의 실손보험은 몇 세대인지 여부부터 확인 하셔야 합니다.

 

▶ 본인 실손 보험 몇 세대 ?

 

판매 시기별로 구분되며 1세대는 2009년 9월 까지, 2세대는 2009년 10월 ~ 2017년 3월까지, 3세대는 2017년 4월 ~ 2021년 6월까지, 4세대는 2021년 7월 부터 출범한 보험이 해당 됩니다. 

 

 

 4세대 실손보험 장.단점

 

 

   4세대 실손보험의 장점

4세대 실손보험료는 약 월 1만 2000원 수준으로 가장 큰 장점은 저렴한 보험료 입니다

 

1세대, 2세대 상품의 평균 보험료는 월 2만에서 ~ 4만원 사이, 3세대 보험료는 약 1만 3000원으로, 4세대 보험료가 가장 저렴 합니다. 

 

   4세대 실손보험의 단점

우선 저렴한 보험료인 만큼 보장 받은 금액이 가장 적습니다. 

 

1세대 실손보험은 실제의료비를 전액 돌려 받기 때문에 자기 부담률이 0%, 2세대, 3세대는 자기부담률이 10% ~ 20%, 4세대는 자기부담률이 급여 20%, 비급여 항목 30% 입니다. 

 

▶ 급여, 비급여 차이점 은 ?

 

▶ 실손 보험, 실비 보험 차이점 은 ?

 

▶ 실손보험 세대별 가입 구분 1,2,3,4세대

 

만약, 자신의 진료비가 100만원 이라면 1세대는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 없는 반면, 4세대는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 10만원 ~ 30만원 정도로 늘어나게 됩니다.

 

그리고 가입 주기도 가장 짧은 5년으로, 1세대는 재가입 필요 없이 만기까지, 2세대.3세대는 재가입 주기가 15년 입니다. 

 

 

 4세대 전환시 고려 사항

  

 

결론부터 말하면 20,30대의 젊고 건강한 사람이라면 4세대 실손 보험이 유리하며, 병원을 자주 가고 앞으로 병원 진료를 자주 받을 것으로 예상 된다면 4세대 보험으로 전환을 하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1세대, 2세대, 3세대 실손보험은 '전체가입자'를 기준으로 다음 보험료가 갱신 됩니다. 

 

즉, 본인이 병원을 한번도 가지 않아도 다른 사람들이 많이 가면 다같이 보험료가 오르게 되지만, 4세대는 오직 본인의 기준으로 보험료가 측정되기 때문에 병원을 가지 않으면 오르기 보다 내려 갈 수 있습니다. 

 

실손 계약전환 간편계산기

 

월 보험료만 단순히 비교하지 마시고 자신의 처한 상황에 따라 전환 여부를 결정 하셔야 합니다. 

 

본인이 직접 유.불리 여부를 따질 수 있는 '실손의료보험 계약전환 간편 계산기'가 나왔으니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 보험료 차등제 란? (2024년 7월 적용)

 

▶ 본인 실손 보험 몇 세대 ?

 

▶ 급여, 비급여 차이점 은 ?

 

▶ 실손 보험, 실비 보험 차이점 은 ?

 

▶ 실손보험 세대별 가입 구분 1,2,3,4세대

반응형

댓글